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재고의 개념과 재고비용, 재고관리 모형과 기법

Good safety 2024. 2. 3. 08:56
728x90

로봇으로 재고관리하는 아마존社(이미지 출처: https://techrecipe.co.kr/posts/59036)

<재고의 개념>
재고: 기업 내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품 자원
① 과다재고: 자금효율을 저하
② 소재: 고객대응성 저하

<재고의 유형>
① 안전재고(완충재고)
a.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해 비축하는 재고
b. 수요의 표준편차(불확실성)가 클수록 안전재고량 증가
c. 안전재고량이 많을수록 품절률은 감소,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음
(생산시스템이 효율적이라면 적은 안전재고로도 품질 위험을 줄일 수도 있음
d. 조달기간이 짧을수록 그 기간동안 필요한) 안전재고의 수준은 낮아짐

② 주기재고: 주문기간당 평균재고량

③ 예비재고
a. 계절적 변동과 같은 불규칙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재고
b. 이를 줄이기 위해 평준화(leveling) 실시

④ 수송재고: 주문 이후 대금 입금되었지만 아직 입고되지 않은 재고 리드타임과 비례)

 

<재고비용>
주문비용: 주문 관련하여 발생하는 비용
재고유지비용 재고 유지 · 보관 비용-> 이자비용, 창고 사용료, 보험료, 파손비
재고부족비용 재고부족으로 야기되는 판매손실 및 고객상실의 비용->품절비용

 

<재고관리 모형과 기법>
1) 단일기간 재고모형: 수요가 1회적이거나 수명이 짧은 제품에 활용함

2) 연속기간 재고모형: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재고를 다음기에 활용할 수 있는 제품에 활용
① 고정주문량 모형(Q-systern):

재고수준이 재주문점 (ROP)보다 낮아지는 순간 고정량 Q를 주문->EOQ 모형과 관련
재주문점 = 주문기간수요량 + 안전재고 = 평균수요량 X 리드타임) + 안전재고
(단, 수요량이나 리드타임이 일정한 경우에는 안전재고가 불필요함)
② 정기주문 모형 (P-system): 주기적으로 재고를 조사하여 부족수량만큼 주문
|목표재고수준기간수요량+안전재고-평균수요량 X (재고조사간격 + 리드타임) + 안전재고

3) ABC 분석(Deckie) : 가격과 사용량 등을 기준으로 등급 구분
① 파레토 법칙에 근거하여 통제의 필요성과 정도 및 주문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A품목부터 B, C품목 순으로 구분하여 재고관리에 임함
② A품목은 로트 크기를 줄이고 주문주기도 짧게 하여 재고회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나, C품목의 경우는 안전재고를 많이 확보해도 무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