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도, 유연근무제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1차
[유연근무제]
유연근무제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근무시간, 근무장소 등을 선택·조정하여 일과 생활을 조화롭게 하고, 인력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근무 방식
<유연근무제 특징>
○ 시간과 장소의 유연성: 근무 시간과 장소를 일정한 틀에 갇히지 않고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조정가능
○ 일과 생활의 균형: 개인의 상황에 맞춰 일과 생활을 조화롭게 할 수 있도록 지원
○ 생산성 향상: 자율적인 근무 환경을 통해 집중력과 효율성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 가능
○ 인재 유치 및 유지: 워라밸 문화를 통해 젊은 인재 유치 및 유지에 도움
<유연근무제 유형>☆
1) 집중근무시간제: 일일 근로시간을 늘림으로써 주당 근로일수를 조정
2) 선택적 근로시간제: 총 근로시간에 맞추어 원하는 대로 근무시간을 조정
3) 근로시간의 간주: 직무수행에 필요한 시간
(or 노사가 협의한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간주)
4) 부분근로시간제: 정규근로시간보다 적은 시간 동안 적은 급여로 업무 수행
5) 탄력적 근로시간제: 일정한 핵심 근무시간 제외하고 출퇴근을 자유롭게 조정
6) 재량근로시간제: 고도의 전문직 근로자가 업무성과에 따라 근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정함
7) 사업장 밖 근로시간제: 재택근무 등 사업장 이외의 장소에서 근무를 함
8) 보상휴가제: 초과 근무 시간에 대한 대가의 보상으로 휴가를 부여
<유연근무제 구분>☆
① 근로시간의 유연화
② 근로장소의 다양화
③ 근무량 조정
④ 근무연속성 유연화 제도
분류 | 주요 유형 |
① 근로시간의 유연화 | ▶ 「근로기준법」의 유형: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사업장 밖 근로시간제, 재량근로시간제 ▶ 「근로기준법」이 정하는 유형 이외의 유형: 집중(집약)근로제, 시차출퇴근제 등 |
② 근로장소의 다양화 | ▶ 재택근무제와 원격근무제 등 |
③ 근무량 조정 | ▶ 직무공유제와 시간제근로 등 |
④ 근무연속성 유연화 | ▶ 장기휴가, 안식년제도, 가족의료휴가, 보상휴가제 등 |
<우리나라 유연근무제 유형과 운영방법>
유형 | 운영방법 |
시차출퇴근제 | 기존의 소정근로시간을 준수하면서 출·퇴근시간을 조정하는 제도 |
선택적 근로시간제 | 1개월 이내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1주 또는 1일 근로시간을 조정하는 제도 |
재량근로시간제 | 업무특성상 업무수행방법을 근로자의 재량에 따라 결정하고 사용자와 근로자가 합의한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보는 제도 |
원격근무제 | 주거지, 출장지 등과 가까운 원격근무용 사무실에 출근해서 일하거나, 사무실이 아닌 장소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근무하는 제도 |
재택근무제 | 근로자가 정보통신기기 등을 활용하여 사업장이 아닌 주거지에서 업무공간을 마련하여 근무하는 제도 |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유연근무제 유형>>☆☆
<탄력적 근로시간제>
“탄력적 근로시간제”란 일정한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정한 주와 특정한 날에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규제「근로기준법」 제50조, 제51조 및 제51조의2 참조).
<선택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란 취업규칙(취업규칙에 준하는 것을 포함함)에 따라 업무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을 근로자의 결정에 맡기기로 하는 유연근무제
(규제「근로기준법」 제52조 참조)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란 근로자가 출장 그 밖의 사유로 근로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하여 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는 유연근무제
(규제「근로기준법」 제58조제1항 참조)
<재량근로시간제>
“재량근로시간제”는 업무의 성질에 비추어 업무 수행 방법을 근로자의 재량에 위임할 필요가 있는 업무에 대해 사용자와 근로자대표가 서면 합의로 정한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보는 유연근무제
(규제「근로기준법」 제58조제3항 참조)
참조: 고용노동부,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easylaw.go.kr)
<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업진단지도 예상문제>
Q. 탄력근무제의 핵심 요소는?
1) 근로시간의 일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권한
2) 정해진 핵심근무시간 외에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권한
3) 근무시간과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권한
4) 연속 근무를 할 수 있는 권한
5) 야간 근무를 할 수 있는 권한
Q. 유연근무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와 관련하여 시간과 장소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2) 업무와 생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3) 근로의 시간을 늘릴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4)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5) 우수한 인재의 유치에 유지에 기여한다.
Q. 일정한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정해진 총 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정한 주와 특정한 날에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는 무엇인가?
1) 탄력적 근로시간제
2) 선택적 근로시간제
3) 재량근로시간제
4) 시차출근제
5) 부분근로시간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