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의 모집과 배치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예상문제
[인력의 모집 (외부모집 vs 내부모집)]
외부노동시장 시스템 vs 내부노동시장 시스템(외부노동시장 모집 vs 내부노동시장 모집)
구분 | 외부노동시장 모집 | 내부노동시장 모집 |
대상 인원 | 외부에서 채용되는 직원들 (일반적으로 공고를 통해 지원) | 기존 회사 내 직원들 (재직 중인 직원들 중에서 채용) |
모집 방법 | 공개적인 공고, 인터뷰, 이력서 제출 등을 통해 지원자를 모집 | 비공개적인 방식 (내부 인사팀이 직접 추천하거나 직원들 간의 소개로 모집) |
경쟁 | 많은 지원자들이 경쟁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 | 경쟁이 적음 (기존 직원들 중에서 채용) |
지원자 평가 | 외부에서 채용되는 직원들 (일반적으로 공고를 통해 지원) | 기존 회사 내 직원들 (재직 중인 직원들 중에서 채용) |
고용 시간 | 유동적 (계약에 따라 다름) | 상대적으로 안정적 (기존 직원들 중에서 채용) |
채용비용 | 광고, 인터뷰, 선별 등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음 (기존 직원들 중에서 채용) |
기존 직원들과의 관계 | 처음부터 기존 직원들과의 관계를 형성해야 함 | 이미 기존 직원들과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음 |
기존 조직 문화와의 일치 | 외부에서 채용되는 직원들은 기존 조직 문화와 적응해야 함 | 이미 기존 직원들과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음 |
전문성 | 외부에서 채용되는 직원들은 기존 조직 문화와 적응해야 함 | 이미 기존 직원들과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음 |
장점 |
- 새로운 아이디어 수용가능 - 타 산업의 통찰력 획득 - 교육훈련비용 다소 절감 - 고용기회의 평등한 부여 |
- 역량의 정확한 평가 가능 - 모집/채용의 비용 절감 - 승진을 통한 사기 진작 - 구성원으 능력개발 유도 |
단점 | - 인사배치 오류 발생 - 채용비용, 적응비용 증가 - 내부직원 사기 저하 |
- 제한된 모집 범위 - 교육훈련 비용 증가 - 정치적 내분과 과다 경재 유발 |
[인력의 배치 - 배치전환의 원칙(배치전환 원칙)]
<적재적소적시주의>
- 능력, 직무, 시간 동시 고려
- 직원의 능력과 경험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
<인재육성주의>
- 직원을 성장시키면서 사용하는 인적자원 관리 원칙
- 자주성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통해 조직 경쟁력을 강화
- 직원들의 동기를 부여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적
<균형주의>
- 조직의 각 부서 또는 직무에 필요한 인력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원칙
- 특정 부서에 인력이 집중되거나 부족하면 조직 전체의 효율성이 저하
- 각 부서 또는 직무의 업무량, 난이도, 책임 등을 고려하여 인력을 배치
- 과도한 업무량은 직원들의 건강과 만족도를 저하
이외에도 유연성, 공정성이 인력배치의 원칙과 기준이 될 수 있음.
<산업안전지도사 기업진단지도 예상문제>
Q. 다음 중 인력 배치 전환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무엇인가?
(1) 적재적소주의
(2) 능력주의
(3) 균형주의
(4) 유연성
(5) 공정성
Q. 다음 중 인력 배치 전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직원들의 능력과 경험
(2) 직원들의 성격과 가치관
(3) 직원들의 성과
(4) 조직의 목표와 전략
(5) 직원 개인의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