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안전(안전공학, 산업안전, 건설안전)

201. [재해요인별 안전대책] - 재해 종류, 원인- (안전공학 측면의 원인)

Good safety 2023. 9. 1. 06:44
728x90

<2022년 건설업 사망재해 종류>

2022년 건설업 사고사망자 341명 중 최다발생 재해종류 5순위

1) 떨어짐 204명(59.8% 절반 이상, 추락재해)
2) 무너짐 25명(7.3%)
3) 끼임 24명(7.0 %)
4) 부딪힘 23명(6.7%)
5) 물체에 맞음 23명(6.7%)

  발생한 재해를 안전공학적 이론의 측면으로 구분하면(원인에 대한 비율이나 순위를 구한 통계는 찾지 못하였음),

< 원인> - 
(1) 직접 원인(하인리히)
1) 불안전한 상태 : 재해,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 또는 그 요인을 만들어낸 물리적인 상태 또는 환경
2) 불안전한 행동 : 재해,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 또는 그 요인을 만들어낸 근로자의 행동

(2) 간접원인(하비, 3E)
1) 기술적 원인 : 기술상의 준비, 대책의 부족에 의한 것
2) 교육적 원인 : 안전 지식 및 경험 부족에 의한 것
3) 관리적 원인 : 관리상의 결함에 의한 것

 

 

 

cf) 2022년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_고용노동부 발표(2023.01)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_중대산업재해감독과.pdf
0.46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