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안전공학(산업안전지도사 2차)

238. [유해위험요인 안전기술] - 동절기 안전대책

by Good safety 2023. 8. 15.
728x90

<동절기 안전대책>

 

동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및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1) 폭설 인한 가설구조물 붕괴, 변형
2) 강설 · 결빙 등 의한 미끄러짐 인한 전도 - 추락.
3) 혹한 인한 지하매설물 동파.
4) 강풍 인한 자재의 낙하· 비래.
5)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 과열인한 화재.
6) 한랭질환

 

 

 

 


<안전대책>
1) 풍속이 초당 10미터 이상, 강우량이 시간당 1밀리미터 이상, 강설량이 시간당 1센티미터 이상시 철골작업의 중지.
2) 굴착작업 (채석작업)전 사전조사에서 균열 · 함수 · 용수 · 동결 의 유무 확인.
3) 한랭질환 예방조치 운동, 영양섭취, 온수, 젖은 옷 갈아입기 등 실시.
4) 한랭 작업 과 격리된 휴게시설 설치.
5) 악천후 및 강풍시 작업을 중지. 근로자 위험 방지
6) 누전차단기, 과전류 차단기를 사용하고 난방기 전열기구 점검.
7) 화재예방을 위한 소화설비 준비
8) 화재시 피난교육 등 비상조치 + 화재예방 교육.
9) 굴착시 물고임 방지, 배수 처리 유의 되메우기 작업시 젖거나 동결된 표면 제거 후 다음 층 시공.
10) 가설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의 결빙상태 및 가설 구조물을 점검
11) 눈은 제거 물이 유입되어 얼어붙지 않게 조치
12) 결빙구간은 모래 등으로 미끄럼 방지 추락위험 개소는 안전난간 설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