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공사16

[기초공사] - 안전대책 [기초공사] - 안전대책 (1) 사전 조사 (2) 기초의 근입 깊이 확보(동해 방지) (3) 얕은 기초의 전단파괴(전반 전단, 국부전단, 펀칭 전단) 방지 (4) 부등침하방지 (5) 연약지반은 지반개량공법으로 침하방지 (6) 구조물의 변형방지 위하여 기초지반의 강성증대 (7) 굴착작업 전 지하매설물 확인하여 사전방호조치 (8) 굴착작업 시 지하수 처리 (9) 주변 지반의 영향 최소화 (10) 케이슨 공법 사용 시 산소농도 18% 이상 유지, 호흡용 보호구 지급 (11) 내진설계로 지진에 대한 기초의 안전성 확보 (12) 기초공사 시 안전관리 철저 2023. 10. 16.
[기초공사] - 말뚝기초, 말뚝 시공법 종류 [기초공사] - 말뚝기초, 말뚝 시공법 종류 (1) 개요 ① 말뚝 기초(Pile Foundation)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 ② 말뚝기초의 시공법은 기성말뚝의 시공법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시공법으로 구분 ① 기성말뚝 - 타입공법: 타격공법(Drop Hammer, Steam Hammer, Diesel Hammer, Hydraulic Hammer), 진동공법 - 매입공법: Pre-Boring 공법, Water-Jet 공법, 압입 공법, 중공 굴착공법 ②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 굴착공법: Beneto(All-Casing) 공법, RCD 공법, Earth Drill 공법 - 치환공법(Prepacked Concrete Pile) 공법: CIP 공법, MIP 말뚝공법, PIP 말뚝공법.. 2023. 9. 26.
[기초공사] - 기성 콘크리트 말뚝 시공 순서, 말뚝기초 시공법의 특징 [기초공사] - 기성 콘크리트 말뚝 시공 순서 (1) 시공순서 ① 지반조사 ② 재료의 운반 저장 ③ 말뚝박기 ④ 말뚝이음 ⑤ 두부 정리 및 보강 [기초공사] - 말뚝기초 시공법 특징 1) 장점 - 기성제품으로 품질양호 - 시공속도가 빠르고 시공용이 - 개별 지지력 확인 가능 - 지하수위에 관계없이 시공가능 2) 단점 - 소음진동으로 건설공해 발생 - 긴 말뚝은 이음 필요 - 전석층이 있을 경우 말뚝 파손 - 운반 중에 충격이나 손상우려 1) 장점 - 기성제품으로 품질양호 - 소음진동 적음 - 대구경의 말뚝도 시공가능 - 인접구조물에 영향 최소 2) 단점 - 시공관리가 다소 어려움 - 지번교란으로 지지력 감소 - 배토처리 필요 - 공사비가 고가 1) 장점 - 이음 불필요 길이조정가능 - 소음진동 적음 - .. 2023. 9. 25.
[기초공사] - 기성 콘크리트 말뚝 시공 시 재해 유형 [기초공사] - 기성 콘크리트 말뚝 시공 시 재해 유형 ① 연약지반에서 항타기 전도 ② 말뚝 운반, 이동작업 시 충돌, 협착 ③ 인양작업 시 와이어로프 절단으로 전도, 낙하 ④ 항타 시 지하매설물의 파손 ⑤ 붐, 와이어로프 등의 고압선 접촉에 의한 감전 ⑥ 말뚝박기 작업 시 안전관리 소홀로 장비와 작업자의 충돌, 협착 2023. 9. 25.
[기초공사] - 천공기 굴착시 유의사항 [기초공사] - 천공기 굴착시 유의사항(시공part) ① 구멍은 토사 붕괴 방지를 위한 Caising 사용 ② 굴착작업은 지질을 확인한 후 실시 ③ 굴착공에 가스 발생이 있을 때는 2종류 이상 조사한 후 예방대책 수립 ④ 굴착과 균형된 불량발생 여부 확인 ⑤ 발생 토사가 비산되지 않도록 방호설비를 설치하고 즉시 방출조사 2023. 9. 25.
[기초공사] - 항타기 말뚝박기 작업(타입공법사용 시) (시공 part) ① 관계자 이외의 출입을 금지하고 안전조치, 보호구 착용 ② 시공 경과의 상황을 수시로 사진촬영 및 기록 ③ 크레인 운전 및 항타기의 운전을 신호에 의하여 작동 ④ 권상 장치에 하중을 건 채로 붐의 회전이나 크레인의 이동금지 ⑤ 항타기의 리더에는 사다리를 달아 놓아야 하며 해머가 작동하는 동안 리더나 사다리에 아무것도 남겨 두지 않음 ⑥ 말뚝 세우기 - 항타기나 천공기는 동요나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 - 항타기나 천공기의 포스트 가드레일을 수직으로 설치 - 해머는 내린 후 말뚝을 세우고 해머를 올림 ⑦ 항타기의 연결 사다리는 진동으로 인하여 풀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시점검 ⑧ 항타기를 이동할 때는 반드시 해머와 리더를 내리고 이동 ⑨ 항타작업을 할 때는 붐을 60° 이하로 세움 금지 ⑩.. 2023. 9. 25.
[기초공사] - 항타작업 두부정리 및 보강 [기초공사] - 항타작업 두부정리 및 보강 (시공part) ① 말뚝의 두부 정리로 기초 콘크리트와 일체성 확보 ② 말뚝이 길 때는 버림 콘크리트 위 6cm를 남기고 절단하고, 10cm 아래에 밴드를 조여 균열방지 ③ 말뚝이 짧을 때는 조인트 철근은 면 위로 30cm 이상, 보강철물은 본체의 철근배근 개수 이상, 내부받이판은 말뚝직경의 1/2되는 밑지점에 위치 ④ 말뚝의 중간이 파손 시에는 인접지역에 추가항타하거나 기초확대 및 철근량 보강 ⑤ 기울기가 말뚝길이의 1/50 이상으로 수직시공이 안 된 경우에는 보강말뚝 시공 ⑥ 설계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는 추가항타하거나 기초확대 및 철근을 1.5배로 보강배근 2023. 9. 25.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시 말뚝머리의 파손 원인 및 대책(5가지씩) _(시공기준의 해법임. 이 정도의 대책은 시공담당이 기억할 것) 1) 이음부 불량 - 이음 철저 2) 지지력 불량(암반층) - 현장 지반조사 및 적합공법 선정 3) 축선 불일치 - 축선 일치 4) 경사지반 - 경사지반 대책 수립 5) 편타 - 편타방지 6) 쿠션재 불량 - 쿠션재 적정 크기 및 두께 확보 7) 해머의 용량 과다 - 적정 해머 사용 8) 과다한 항타 작업 - 타격 횟수 기준 준수 9) 말뚝의 강도 부족 - 말뚝의 시험성적서 사전확인 2023. 9. 21.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시 선단부의 파손 원인 및 대책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시 선단부의 파손 원인 및 대책(3가지 이상 기억) ☆ 1. 경사지반에서 작업 - Shoe 교체 2. 취성이 있는 콘크리트 재료 - 강관말뚝 사용 3. 타입저항이 큰 말뚝 - 타입저항이 작은 말뚝으로 변경 4. 중간층에 장애물 있는 경우 - 미리 천공작업 후 타입 2023. 9. 21.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 안전대책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 안전대책 ① 항타기를 연약지반에 설치 시 침하방지를 위한 깔판, 깔목 등을 사용 ② 항타작업 전에 지중 매설물 조사하여 적절한 조치 ③ 작업장소 부근의 고압선, 배전선은 절연피복 등 안전조치 ④ 권상기는 역회전방지용 브레이크 설치, 흔들리지 않게 설치 ⑤ 심하게 변형, 부식, 꼬임, 비틀림된 권상용 와이어로프 사용금지 ⑥ 장비별로 전담 신호수를 배치하여 신호에 따라 작업 ⑦ 작업지휘자를 지정하여 지휘 및 감독 ⑧ 항타작업 시 말뚝 길이의 1.5배 거리 내에 출입금지조치 ⑨ 작업자는 개인 보호구 착용 ⑩ 말뚝걸기 작업 등 위험작업은 지정된 자가 실시 2023. 9. 21.
[기초공사] -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분류 ① 굴착공법 - Benoto(All Casing) 공법 -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 - Earth Drill(Calwelld) 공법 ② 치환공법(Prepacked Concrete Pile) - CIP 말뚝(Cast-in Place Pile) 공법 - MIP 말뚝(Mixed-in Place Pile) 공법 - PIP 말뚝(Packed-in Place Pile) 공법 ③ 관입공법 - Franky Pile: 콘크리트를 외관 속에 채워서 Drop Hammer 깊이까지 관입한 후 타격하여 구근을 형성하고 외관을 인발하면서 콘크리트를 다져 말뚝을 형성 - Pedestal Pile: Drop Hammer가 케이싱을 직접 타격하므로 소음이 큼 - Raymond Pile: 내외관을 동.. 2023. 9. 21.
[기초공사] -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중 굴착공법의 비교 - 항경: 800~1500mm - 항심: 20~50m - 전 길이에 케이싱을 사용 하여 굴삭공 보호 - 사층의 시공 가능 - 사층에서 케이싱에 작용하 는 마찰력이 커져 요동 불 능, 뽑기 불능 사태 발생 - 굴착기가 대형이고 케이싱 이 필요하기 때문에 협소 한 장소에서 시공이 곤란 - 케이싱 튜브를 선행하여 압입하므로 굴착에 의한 공벽 붕괴가 없다. - 타 공법보다 타입 시에 소음과 진동이 크다. - 항경: 800~2000mm - 항심: 60m - 소음과 진동이 적다. - Rotary 테이블을 모체와 30m 정도까지 내려 작업 할 수 있어 수상 시공과 공구가 작은 장소에 시공 가능 - 시공속도가 빠르고 경제적 이수처리 곤란 - 세(細) 자갈 굴착에 유리 - 드릴 로드 내경보다 큰 전석 등이 지반 속에 있.. 2023. 9. 16.
[기초공사] - 케이슨 기초 종류 [기초공사 ] - 케이슨 기초 (잠함기초) - 깊은 기초 - 지지력, 수평저항력 가장 大 - 자중, 적재하중의해 소정 위치까지 침하 1 ) 우물통 기초 (Open caisson) 공법 2) 공기 케이슨 (Pneumatic caisson) 3) 상자형 케이슨 (Box caisson) 2023. 9. 16.
[기초공사] - 상자 케이슨 공법 특징. ( Box caisson) [기초공사] - 상자 케이슨 공법 특징 1) 해상 예인 후 내부에 콘크리트, 자갈 모래등을 채워 소정의 위치에 침하 2) 품질 확보 용이, 설치 간편, 방파제 등 항만구조물에 사용 多. 3) 단점으로는 소음과 진동이 커 시가지 공사에 부적합 4) 케이슨병 발생 5) 굴착 깊이의 제한 6) 노무비 비율 높아 비경제성 7) 고가의 기계설비 필요 2023. 9. 16.
[기초공사] - 작업시 안전대책. (5가지)★★ [기초공사] - 작업시 안전대책 1) 작업시간, 시공방법 등을 검토하여 적정 공법 선정 2) 크레인 등을 연약지반 설치시 침하방지 깔판, 깔목 등 사용 3) 소음 · 진동의 대책 수립. 4) 케이슨 병 예방위한 사전조치 5) 밀폐 공간 작업시 충분한 산소공급, 작업 교대 6) 작업지휘자 지정하여 지휘 및 감독 2023. 9. 16.
[기초공사] - 말뚝의 부마찰력 [기초공사] - 말뚝의 부마찰력(NF : Negative Friction) 말뚝의 주위지반이 침하함에 따라 하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 - 연약층 관통 말뚝이 연약층의 압밀침하로 발생 - 하중으로 작용 - 극한 지지력이 감소 ① 연약지반의 분포가 깊을 경우 ② 연약층의 두께가 두꺼울 때 부등침하 발생으로 말뚝 침하 ③ 연약층 위에 과재 하중이 가해질 경우 ④ 동결융해로 지반 침화 ⑤ 지하 수위 저하나 지반 내 간극수압 감소로 중간층 압밀침하 발생 ⑥ 중간층 상부에 하중이 가해져 중간층에 압밀침하 발생 ⑦ 말뚝의 진동으로 주위지반 교란 시 ⑧ 성토층의 압밀 발생 시 ① 연약지반의 개량으로 지반침하 억제 ② 보조 말뚝으로 보강 ③ 말뚝 근입 깊이 증가로 선단 지지력 확보 ④ 지하 수위 저하로 간극수압의 변화를 .. 2023. 9.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