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대책7

안전성평가의 단계_기업진단지도(안전공학)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6단계) (1~6 단계 순) 제1단계: 관계자료의 정비 및 검토 제2단계: 정성적 평가 제3단계: 정량적 평가 제4단계: 안전대책 제5단계: 재해 정보에 의한 재평가 제6단계: FTA실시 2024. 1. 24.
[차량계 건설기계] - 안전대책_산업안전지도사 2차 답안용 (1)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조사, 기록유지 (2) 작업계획을 작성하고 작업실시, 작업계획의 내용을 당해 근로자에게 주지 (3)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는 준수 (4) 노견의 붕괴 방지, 지반의 침하방지, 노폭의 유지 등으로 전도, 전락 방지 (5) 유도자를 배치하여 근로자가 기계에 접촉 방지 (6) 유도자 배치 시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고, 운전자는 준수 (7) 운전자가 운전 위치를 이탈할 경우 작업장치(버킷·디퍼 등)를 지면에 내리고, 원동기 정지, 브레이크를 거는 등의 조치 (8) 차량계 건설기계 이송 시 안전조치 ① 싣거나 내리는 작업은 평탄하고 견고한 장소에서 실시 ② 발판 사용 시 충분한 길이, 폭, 강도, 적당한 경사를 갖춘 안전한 구조로 설치.. 2023. 11. 8.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 안전대책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 안전대책 ① 항타기를 연약지반에 설치 시 침하방지를 위한 깔판, 깔목 등을 사용 ② 항타작업 전에 지중 매설물 조사하여 적절한 조치 ③ 작업장소 부근의 고압선, 배전선은 절연피복 등 안전조치 ④ 권상기는 역회전방지용 브레이크 설치, 흔들리지 않게 설치 ⑤ 심하게 변형, 부식, 꼬임, 비틀림된 권상용 와이어로프 사용금지 ⑥ 장비별로 전담 신호수를 배치하여 신호에 따라 작업 ⑦ 작업지휘자를 지정하여 지휘 및 감독 ⑧ 항타작업 시 말뚝 길이의 1.5배 거리 내에 출입금지조치 ⑨ 작업자는 개인 보호구 착용 ⑩ 말뚝걸기 작업 등 위험작업은 지정된 자가 실시 2023. 9. 21.
[기초공사] - 작업시 안전대책. (5가지)★★ [기초공사] - 작업시 안전대책 1) 작업시간, 시공방법 등을 검토하여 적정 공법 선정 2) 크레인 등을 연약지반 설치시 침하방지 깔판, 깔목 등 사용 3) 소음 · 진동의 대책 수립. 4) 케이슨 병 예방위한 사전조치 5) 밀폐 공간 작업시 충분한 산소공급, 작업 교대 6) 작업지휘자 지정하여 지휘 및 감독 2023. 9. 16.
200. [옹벽공사] - 블록식 보강토 옹벽공사 안전대책. 안전조치 1) 건설장비의 안전한 이동경로 확보, 굴착시 장비의 전도 · 전락, 근로자의 충돌 · 협착 사고 방지 위한 유도자 배치 2) 콘크리트 타설시 장비 이동경로 및 작업 공간 확보, 작업반경 내 근로자 접근을 통제 3) 콘크리트 블록은 위치별 분산적재 운반장비의 이동경로 및 작업 조건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작업계획 수립. 4) 콘크리트 블록의 축조시 근로자 근골격계질환 예방 가능하게 실시 5) 축조 작업시 작업시간과 휴식시간 등을 적정하게 배분. 6) 무너짐 예방을 위해 높이에 대한 기울기는 3/100 이내 7) 보강토 포설 및 다짐작업시 장비이동 경로 계획 장비의 전도·전략 또는 근로자의 충돌 · 협착 방지 위해 작업지휘자 배치. 8) 용벽 단부 작업시 근로자 추락방지 조치. 9) 근로자 대상 추락재해 예.. 2023. 9. 6.
234. [언더 피닝] - 안전대책 1) 기존 구조물의 하부에 파일, 가설 슬래브 구조 및 언더피닝 공법 등의 대책 강구 2) 붕괴 방지 파일 등에 브래킷을 설치, 기존 구조물을 방호 3) 기존 구조물과의 사이에는 모래, 자갈, 콘크리트, 지반보강 약액재 등을 추인하여 지반침하 방지 4) 기존 구조물의 침하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토질, 토층 등을 정밀조사, 유효한 혼합시멘트, 약액 주입공법, 수평, 수직 보강 말뚝공법 등 으로 대책 강구 5) 웰포인트 공법 등이 행하여지는 경우 기존 구조물의 침하에 충분히 주의하고 침하시 그라우팅, 화학적 고결방법 등의 대책 강구 6) 지속적으로 기존 구조물의 상태에 주의. 7) 작업장 주위에는 비상투입용 보강재 등을 준비 8) 맨홀 등 소규모 구조물의 경우 굴착 전에 파일 및 가설가대 등을 설치 후 매달아.. 2023. 8. 18.
238. [유해위험요인 안전기술] - 동절기 안전대책 동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및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1) 폭설 인한 가설구조물 붕괴, 변형 2) 강설 · 결빙 등 의한 미끄러짐 인한 전도 - 추락. 3) 혹한 인한 지하매설물 동파. 4) 강풍 인한 자재의 낙하· 비래. 5)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 과열인한 화재. 6) 한랭질환 1) 풍속이 초당 10미터 이상, 강우량이 시간당 1밀리미터 이상, 강설량이 시간당 1센티미터 이상시 철골작업의 중지. 2) 굴착작업 (채석작업)전 사전조사에서 균열 · 함수 · 용수 · 동결 의 유무 확인. 3) 한랭질환 예방조치 운동, 영양섭취, 온수, 젖은 옷 갈아입기 등 실시. 4) 한랭 작업 과 격리된 휴게시설 설치. 5) 악천후 및 강풍시 작업을 중지. 근로자 위험 방지 6) 누전차단기, 과전류 차단기를 사용하고 난방.. 2023. 8.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