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량공사> 교량 분류 (상부구조 형식에 따라) ☆
1) 슬래브 교 : 교량의 주부재가 슬래브, 주로 15~30m 정도 단경간의 소(小) 교량
2) 라멘교 : 기둥과 보를 강결로 연결. 구조의 강성 증대, 단경간 의 교량에 많이 사용. 고속도로 횡단교, 15~30미터 소교량.
3) 거더교 : 거더를 교량 종방향 (차량 진행방향)으로 가설한 교량,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
4) 트러스교 :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 구조로 조립. 50~100미터 정도 경간에 적용.
5) 아치교 : 아치를 주부재로 하는 교량, 가해지는 외력을 아치의 축선을 따라 압축력으로 저항하는 구조. 미관이 수려, 50 ~ 200 미터 정도 중경간에 적용.
6) 사장교
중간의 교각위의 주탑으로부터 비스듬히 내려 드리운 케이블 로 교량상판을 매단 형태. 200 ~ 600 미터 정도 경간에 주로 적용.
7) 현수교 : 주탑 및 앵커리지로 주케이블을 지지. 사장교 보다 긴 경간에 적용 가능. 1000 미터 이상 초장대교에 대부분 적용. 교량상판이 현수케이블에 매달린 형태로 다른 교량들에 비해 유연하나, 바람에 의한 영향을 면밀히 검토해야 함.
728x90
반응형
'건설안전공학(산업안전지도사 2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8. [교량공사] - 교량 설치 - 해체 작업시 준수사항 (4가지) (0) | 2023.09.12 |
---|---|
189. [교량공사] - 안전대책 (1) | 2023.09.11 |
191. [철근 콘크리트 공사] - 콘크리트 타설시 안전수칙 준수사항. (0) | 2023.09.11 |
192. [철골공사] - 재해 유형 (0) | 2023.09.11 |
193. [철골공사] - 재해 예방 설비 (재해 방지설비) (5가지) (0)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