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안전공학(산업안전지도사 2차)

186. [교량공사] - 종류, 구분

by Good safety 2023. 9. 12.
728x90

[교량공사 ] - 종류, 구분 ☆☆

 

< 단순교 가설 공법 >
1) FSM (Full staging Method) 동바리 설치 공법.
2) PGM (Precast Girder Method) 제작된 거더를 현장에서 설치.

<장대교 가설공법 >
1) FCM (Free Cantilever Method) 무동바리 공법 좌우 평형 맞추면서 세그먼트 순차적 결합, 한국 원효대교,
2) 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연속 압출공법, 시공용이, 작업능률성, 제작장 공간 확보 필, 긴 교량에 경제적
3) MSS (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지보공법 기계화된 거푸집, 한 경간씩 시공, 단순공정·반복시공 일기영향X, 긴교량에 적합.
4) PSM ( Precast Segment Method), 제작된 PC 세그먼트를 현장에서 크레인으로 조립 Post tensioning 공법으로 각 세그먼트 일체화

< 강교 가설공법 >
1) Bent 공법: 교각 사이에 H, L형강 조립, 이동식으로 연결, 수심 2~5M 정도.
2) 가설트러스 공법: 미리 한 지간의 트러스 제작, 현장에서 크레인 조립. 깊은 수심용
3) 크레인식 공법 : 빔을 한 지간 길이로 제작 크레인 조립, 안정·경제·시공성 ↑
4) 캔틸레버식 공법: 양측에서 장출 가설 후 시간 중앙서 폐합, 깊은계곡.
5) 케이블식 공법: 케이블에 교체 달아서 지지하며 가설, 숙련된 기술 요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