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착공법3 [기초공사] -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분류 ① 굴착공법 - Benoto(All Casing) 공법 -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 - Earth Drill(Calwelld) 공법 ② 치환공법(Prepacked Concrete Pile) - CIP 말뚝(Cast-in Place Pile) 공법 - MIP 말뚝(Mixed-in Place Pile) 공법 - PIP 말뚝(Packed-in Place Pile) 공법 ③ 관입공법 - Franky Pile: 콘크리트를 외관 속에 채워서 Drop Hammer 깊이까지 관입한 후 타격하여 구근을 형성하고 외관을 인발하면서 콘크리트를 다져 말뚝을 형성 - Pedestal Pile: Drop Hammer가 케이싱을 직접 타격하므로 소음이 큼 - Raymond Pile: 내외관을 동.. 2023. 9. 21. [기초공사] -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중 굴착공법의 비교 - 항경: 800~1500mm - 항심: 20~50m - 전 길이에 케이싱을 사용 하여 굴삭공 보호 - 사층의 시공 가능 - 사층에서 케이싱에 작용하 는 마찰력이 커져 요동 불 능, 뽑기 불능 사태 발생 - 굴착기가 대형이고 케이싱 이 필요하기 때문에 협소 한 장소에서 시공이 곤란 - 케이싱 튜브를 선행하여 압입하므로 굴착에 의한 공벽 붕괴가 없다. - 타 공법보다 타입 시에 소음과 진동이 크다. - 항경: 800~2000mm - 항심: 60m - 소음과 진동이 적다. - Rotary 테이블을 모체와 30m 정도까지 내려 작업 할 수 있어 수상 시공과 공구가 작은 장소에 시공 가능 - 시공속도가 빠르고 경제적 이수처리 곤란 - 세(細) 자갈 굴착에 유리 - 드릴 로드 내경보다 큰 전석 등이 지반 속에 있.. 2023. 9. 16. 174. [터널공사] - 굴착공법 분류 [터널공사] - 굴착공법 분류 1) 재래식 지보공: 광산 등에서 사용, 안전성 낮음 2) NATM (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공법. - 지반 자체를 주 지보재로 이용, 경제성 높음. 3) TBM (Tunnel Borring Machine) 공법 - 터널보링기계의 회전 커터로 전단면 파쇄하는 굴착공법. 4) Shield 공법 (shield Driving Method) - 강재 원통 굴삭기 (쉴드)로 터널 구축 연약 토사구간이나 용수가 있는 지반에 사용. 5) 개착식 (오픈컷, Open Cut Method ) - 지표면 아래로 open cut 하여 터널을 만드는 공법 6) 침매공법 ( Immersed Method) - 지상에서 터널 박스 제작, 해저에 침하시켜 터널 구축. 2023. 9. 1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