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하2

189. [교량공사] - 안전대책 - 안전대책 ☆ 1) 안전 담당자 지정, 지휘 하에 작업실시. 2) 작업 반경 내 작업자의 출입금지, 안전표지 부착. 3) 강풍, 호우, 폭설 등 악천후 시 즉시 작업중지. 4) 고소작업시 추락방지용 방망 설치, 안전대 및 걸이설비 설치 5) 낙하물 방호선반 설치 및 비계 위 자재적치 금지 6) 건설기계, 장비와의 충돌, 협착 방지 위해 유도자 배치. 7) 건설기계의 넘어짐 인한 깔림 등의 방지 위해 밑받침 견고히 하고 무리한 작업금지 8) 동바리, 거푸집의 도괴 · 붕괴 방지 위해 지반강화 및 깔목· 깔판 등을 충분히 사용. 9) 상하 동시 작업 시 상호연락 및 협조하에 작업. 10) 현장 정리정돈, 전도 및 추락방지, 안전한 통로의 확보 11) 현장 주변 전선의 이설 또는 절연용 방호구 설치로 감전 예방 2023. 9. 11.
237. [유해위험요인 안전기술] - 장마철. 1) 집중호우로 토사 유실, 붕괴 2) 주변 지반 약화 인접 건물, 시설물의 손상, 지하매설물의 파손. 3) 현장 침수, 전기기계·기구 취급 중 감전 위험. 4) 우수 유입, 사면 침투로 사면 유동성 증가, 사면붕괴 위험. 5) 배수 불량으로 옹벽 등 붕괴 6) 맨홀 등 밀폐 - 질식위험 (산소결핍, 유해 미생물 번식, 유독가스) 7) 강풍 등에 의한 부자재의 낙하·비래. 8) 혹서기 무리한 작업으로 온열질환 등 건강장해. 1) 구조물 기초주변 토사유실 및 침수방지 위한 가설 배수로 설치 2) 배수시설의 확보, 점검 및 유지보수 3) 절토·성토시 기울기면 준수, 사면에는 비닐 덮기 등으로 보강. 4) 동바리, 비계 등 가설구조물의 변형 변위 등의 상태 확인 및 안전상태 확인 5) 강우에 대비하여 측구 설.. 2023. 8.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