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수준의 관리, 임금수준 관리_기업진단지도, 경영학, 산업안전지도사
임금 수준의 관리 : 전체 종업원 평균임금총액의 설정 1) 영향요인: 대외요인(타사 임금 수준, 생계비, 물가, 정부정책) + 대내요인(규모, 전략, 노조, 지불능력) 2) 임금의 상한선 기업의 지불능력 ← 생산성(물적 · 부가가치 생산성)과 수익성(BEP 등)에 따라 결정 3) 임금의 하한선: 생계비 이론적 생계비, 종업원의 생애주기, 법정최저임금 등의 영향 가장 적절하지 4) 적정임금수준의 결정: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 ① 지배임금률: 동일지역/유사산업/동일직무 노동자의 평균수령임금 수준(임금의 사회적 균형) ② 노동조합: 노조의 단체교섭력이 강할수록 임금수준 상향 ③ 경영전략: 선도전략(경쟁기업보다 ↑), 동행전략(지배임금률 수준), 추종전략(경쟁기업보다 ↓)
2024.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