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병2

우리나라 직업병 집단 발병 대표 사례_기업진단지도(산업위생분야) 이황화탄소는 이상감각, 작열감, 근육의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다발성 신경염을 일으킨다. 특히 감각성 다발성 신경증은 공기 중 농도 10mg/㎥ 이하에서 10∼15년 노출된 경우 통증감각이 무뎌지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혈관의 죽상동맥경화 현상은 만성적으로 노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공기 중 농도 30∼120mg/㎥에서 10년 이상 노출되는 경우 관상동맥질환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眼) 과적 질환 변화로는 안압의 증가, 시신경염, 망막 정맥류 등이 나타난다(출처: 안전보건 연구동향 4월호 09 참조). 2-브로모프로판은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알려진 프레온의 대체물질이다. 국내의 한 제조업체가 1994년 이를 도입해 공정에 사용한 지 1년 만에 여성 노동자 11명이 월경 중단, 2명은 재생.. 2024. 1. 11.
직업병 예방, 직업병 원인 물질, 작업장과 직업병_기업진단지도(산업위생 분야) ◇ 직업병 원인물질 1. 물리적 요인 : 소음, 진동, 유해광선(전리, 비전리 방사선), 온도, 이상기압, 조명 등 2. 화학적 요인 : 화학물질,금속증기,분진,오존 등 3. 생물학적 요인 : 바이러스,진균,리케차( Rickettsia ),전염성동물 등 4. 인간공학적 요인 : 작업방법, 작업자세, 작업시간, 중량물의 취급 등 ◇ 직업성 질환 예방 1차 예방 : 원인제거, 원인이 되는 손상을 막는 것 2차 예방 : 근로자가 진료 전 질병을 조기 발견 3차 예방 : 치료와 재활 ​ ◇ 작업별 직업병 예시 1. 용광로 : 고온장애 2. 갱내착암: 산소결핍 3. 샌드블라스팅 : 호흡기계 4. 축전기제조 : 납중독 5. 도금작업 : 비중격천공 6. 채석,채광 : 규폐증 7. 제강,요업 : 열사병 8. 유리공업 .. 2024. 1.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