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타작업4 [기초공사] - 항타작업 두부정리 및 보강 [기초공사] - 항타작업 두부정리 및 보강 (시공part) ① 말뚝의 두부 정리로 기초 콘크리트와 일체성 확보 ② 말뚝이 길 때는 버림 콘크리트 위 6cm를 남기고 절단하고, 10cm 아래에 밴드를 조여 균열방지 ③ 말뚝이 짧을 때는 조인트 철근은 면 위로 30cm 이상, 보강철물은 본체의 철근배근 개수 이상, 내부받이판은 말뚝직경의 1/2되는 밑지점에 위치 ④ 말뚝의 중간이 파손 시에는 인접지역에 추가항타하거나 기초확대 및 철근량 보강 ⑤ 기울기가 말뚝길이의 1/50 이상으로 수직시공이 안 된 경우에는 보강말뚝 시공 ⑥ 설계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는 추가항타하거나 기초확대 및 철근을 1.5배로 보강배근 2023. 9. 25.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시 말뚝머리의 파손 원인 및 대책(5가지씩) _(시공기준의 해법임. 이 정도의 대책은 시공담당이 기억할 것) 1) 이음부 불량 - 이음 철저 2) 지지력 불량(암반층) - 현장 지반조사 및 적합공법 선정 3) 축선 불일치 - 축선 일치 4) 경사지반 - 경사지반 대책 수립 5) 편타 - 편타방지 6) 쿠션재 불량 - 쿠션재 적정 크기 및 두께 확보 7) 해머의 용량 과다 - 적정 해머 사용 8) 과다한 항타 작업 - 타격 횟수 기준 준수 9) 말뚝의 강도 부족 - 말뚝의 시험성적서 사전확인 2023. 9. 21.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시 선단부의 파손 원인 및 대책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시 선단부의 파손 원인 및 대책(3가지 이상 기억) ☆ 1. 경사지반에서 작업 - Shoe 교체 2. 취성이 있는 콘크리트 재료 - 강관말뚝 사용 3. 타입저항이 큰 말뚝 - 타입저항이 작은 말뚝으로 변경 4. 중간층에 장애물 있는 경우 - 미리 천공작업 후 타입 2023. 9. 21.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 안전대책 [기초공사] - 항타작업시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 안전대책 ① 항타기를 연약지반에 설치 시 침하방지를 위한 깔판, 깔목 등을 사용 ② 항타작업 전에 지중 매설물 조사하여 적절한 조치 ③ 작업장소 부근의 고압선, 배전선은 절연피복 등 안전조치 ④ 권상기는 역회전방지용 브레이크 설치, 흔들리지 않게 설치 ⑤ 심하게 변형, 부식, 꼬임, 비틀림된 권상용 와이어로프 사용금지 ⑥ 장비별로 전담 신호수를 배치하여 신호에 따라 작업 ⑦ 작업지휘자를 지정하여 지휘 및 감독 ⑧ 항타작업 시 말뚝 길이의 1.5배 거리 내에 출입금지조치 ⑨ 작업자는 개인 보호구 착용 ⑩ 말뚝걸기 작업 등 위험작업은 지정된 자가 실시 2023. 9. 2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