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야간 교대 근무 부정적 효과(야간 교대 근무 단점)_기업진단지도(산업위생분야)

by Good safety 2024. 1. 3.
728x90
야간 교대 근무( shiftwork that involves circadian disruption)를 "2A(인체 발암 추정 물질)"로 분류하는 IARC

 
야간 교대 근무를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인체 발암 추정 물질(2A)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야간 교대 근무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야간 교대 근무의 부정적 효과(교대근 무 단점)>
- 생체시계 이상, 면역체계 약화
- 멜라토닌 생성 조절 방해
- 배우자와 자녀와의 가족생활 영위 불량
- 역행적 교대근무는 순행 교대보다 더 힘듦
- 야간 조명은 자연광선이 아니라 비타민 합성 X
- 낮잠은 밤잠과 동일한 효과를 내지 못함.
- 순환적 야간근무는 고정야간보다 신체, 심리적 건강 위험 심함
 
cf) < IARC의 발암물질 분류>
(THE IDENTIFICATION OF CARCINOGENIC HAZARDS TO HUMANS)

IARC(국제암연구소)의 인체위험 발암물질분류표(아래 엑셀파일)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Volumes 1–135.xlsx
0.07MB

 

IARC(국제암연구소)의 다운로드 링크
https://monographs.iarc.who.int/list-of-classifications/

Q 야간 교대 근무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산업안전지도사 1차 시험 예상문제)
1)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수단이나 근로방법의 개선 등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작업자의 면역체계를 약화시킨다.
2) 역행적 교대근무가 순행적 교대근부 방식에 비해서 근로자의 부담이 비교적 덜하다.
3) 야간 교대 근무 이후에 낮 동안의 수면은 야간의 수면과 동일한 효과를 내지 못한다.
4) 야간 교대 근무는 인체 내의 멜라토닌 생성을 방해한다.
5) IACR의 THE IDENTIFICATION OF CARCINOGENIC HAZARDS TO HUMANS 에서 야간 교대 근무는 인체 발암 추정 물질로 분류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