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의 기법>
정량적 기법과 정성적 기법 분류
※ 정량적 위험성평가
1) HEA 작업자실수분석
2) FTA 결함수분석
3) ETA 사건수분석
4) CCA 원인결과분석
특징
1) 작업자실수분석(human error analysis : HEA ) : 설비의 운전원, 정비보수원, 기술자 등의 작업에 영향을 미칠만한 요소를 평가하여 그 실수의 원인을 파악하고 추적하여 정량적으로 실수의 상대적 순위를 결정하는 안전성평가 기법
2) 결함수분석 (fault tree analysis : FTA ) 기법 : 사고를 일으키는 장치의 이상이나 운전사 실수의 조합을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정량적 안전성평가 기법
3) 사건수분석 (event tree analysis : ETA ) 기법 : 초기 사건으로 알려진 특정한 장치의 이상이나 운전자의 실수로 발생되는 잠재적인 사고 결과를 평가하는 정량적 안전성평가 기법
>> 사상의 안전도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안전도를 나타내는 모델. 귀납적이기는 하나 정량 분석기법이다. 재해의 확대요인의 분석에 적합함.
4) 원인 결과분석 (cause-consequence analysis : CCA ) 기법 : 잠재된 사고의 결과와 이러한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사고 결과와 원인의 상호관계를 예측·평가하는 정량적 안전성평가 기법
※ 정성적 위험성평가
1) Check List 체크리스트기법
2) Safety Review 안전성검토
3) HAZOP 위험과운전분석
4) What-If 사고예상질문분석기법
5) FMECA 이상위험도분석
6) 상대위험순위결정
7) PHA 예비위험분석
<특징>
1) 체크리스트(Check list) 기법 : 공정 및 설비의 오류, 결함 상태, 위험 상황 등을 목록화한 형태로 작성하여 경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위험성을 정성적으로 파악하는 안전성평가 기법
2) 안전성검토(Safety Review) : 위험을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의 안전프로그램 및 이니셔티브의 효과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며, 계획과 의도대로 안전하게 작동하는 동시에 개선의 기회를 파악하는 정성적인 기법
3) 위험과운전분석(HAZOP,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기법 :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들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정성적인 안전성평가 기법
4) 사고예상질문분석(WHAT-IF) 기법 : 공정에 잠재하고 있으면서 원하지 않은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사고를 예상질문을 통해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그 위험과 결과 및 위험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하는 정성적 안전성평가 기법
5) 이상위험도분석(Failure Modes Effect and Criticality Analysis : FMECA ) 기법 : 공정과 설비의 고장 형태 및 영향, 고장 형태별 위험도 순위 등을 결정하는 기법
6) 상대위험순위결정(Dow and Mond Indices) : 설비에 존재하는 위험을 수치적인 상대위험 순위로 지표화하여 그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상대적 위험 순위를 정하는 안전성평가 기법
7) 예비위험분석( (Preliminary Hazard Analysis : PHA) : 플랜트를 개발하기 전에 포괄적인 기법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리스크의 순위를 결정하거나 기존의 시설물의 리스크를 분석할 때 적용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 분석 시 상관계수 이용하여 검증하는 타당도(상관계수 추정에 의한 타당도 지수와 타당도 평가) (0) | 2024.01.05 |
---|---|
시스템공학 (공학시스템)의 정의 및 특징 (0) | 2024.01.05 |
아이젠하워 매트릭스(긴급-중요 매트릭스, 업무의 긴급성과 중요도)_기업진단지도(경영관리) (1) | 2024.01.04 |
야간 교대 근무 부정적 효과(야간 교대 근무 단점)_기업진단지도(산업위생분야) (1) | 2024.01.03 |
직업병 예방, 직업병 원인 물질, 작업장과 직업병_기업진단지도(산업위생 분야) (1)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