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사적 품질관리(TQM)의 의의
1) 의미: 경영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조직의 모든 구성원들이 품질향상을 도모
2) 기존 품질관리 개념과의 차이
① 통계적 품질관리는 이상변동만을 관리대상으로 인식한 반면, TQM은 우연변동까지 관리대상으로 파악하여 결점이 없는 생산 및 서비스 운영관리를 지향함
② 인적자원관리, 팀워크, 리더십 등의 요인에 대한 강조를 병행함
3) 관련개념
① 카이젠(Kaisen, 改善): 지속적 개선, 5원칙(고객을 알고, 낭비를 줄이고, 현장으로, 팀웍, 실질적 아이디어로), 카이젠의 5S(5S: 정리(seiri), 정돈(seiton), 청소(seisou), 청결(seiketsu), 습관(shitsuke)),
② 데밍의 수레바퀴(PDCA): 카이젠을 실천하기 위한 작업순서: 계획(Plan) - 실행(Do) - 검토(Check) - 조치(Act)
![]() |
데밍의 PDCA 출처: wiki
③ 품질분임조(QC): 품질문제 해결을 위한 자발적 팀
2. 식스 시그마(6-sigma)
1) 개념: 결점률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전사적 품질개선 전략
2) 특징: 고객의 요구 반영에 초점
3) 단계: DMAIC, D(정의) - M(측정) -A (분석) -I(개선) - C(통제)
4) 추진조직: 그린벨트 → 블랙벨트 → 마스터 블랙벨트 → 챔피언
3.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도구들
![]() 체크리스트 |
![]() 히스토그램 출처: https://www.geeksforgeeks.org |
![]() 파레토 도표(파레토도, 파레토 차트) 출처: https://support.microsoft.com |
![]() 특성요인도(피쉬본 차트, 어골상도) 출처: https://business.tutsplus.com/ |
![]() 산점도 출처: https://otexts.com/ |
![]() 런차트 출처: https://thecompletemedic.com |
1) 체크리스트와 히스토그램(histogram): 이상요인(결점이나 불량 등)의 수나 빈도 등을 기록
2) 파레토 도표(pareto diagram): 품질 불량이나 공정오류를 야기하는 여러 항목들을 금액이나 중요도 내지는 빈도에 따라 나열한 그림 → 파레토 법칙(pareto's law)에 기인한 방법
3) 피쉬본 차트(fishbone chart, 魚骨圖, 이시카와 다이어그램): 이는 특성요인도(인과분석도, cause and effect diagram)로도 불리는 도표로서, 특정 품질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요인들을 생선뼈와 같은 가지로 표시하여 각 요인별 분석(analysis)을 돕는 그림 작업환경, 자재, 장비, 작업자, 작업방법 등을 고려
4) 산점도(scatterplot): 품질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의 분석에 사용되는 도표
5) 런차트 (run chart): 시간에 따른 품질변숫값의 변화를 표현한 그림
4. 기타 품질관리 관련 용어
1) ISO(국제표준기구) 인증: ISO9000(품질), ISO 14000(환경경영), ISO 26000(지속가능경영)
2) 말콤 볼드리지 국가 품질상: 미국 상무장관의 이름을 따서 만든 품질상
3) ZD 운동 (크로스비): 품질관리를 생산과 제조뿐만 아니라 일반관리 사무에까지 확대 적용
4) 품질기능전개(QFD): 고객의 요구사항을 도출·분석하여 이를 설계와 생산 프로세스에 반영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우스(House) : 경로-목표 이론 정리_기업진단지도(경영관리, 산업심리분야) (0) | 2024.01.19 |
---|---|
인간-기계시스템 병렬계 신뢰도_기업진단지도(인간공학, 산업안전분야) (0) | 2024.01.18 |
작업설계이론_기업진단지도(경영관리) (0) | 2024.01.11 |
직업 스트레스 모델_기업진단지도 (0) | 2024.01.11 |
정보처리과정_기업진단지도(인간공학분야)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