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공정(프로세스, process)_기업진단지도, 경영관리

by Good safety 2024. 2. 6.
728x90

[공정(프로세스)]

1. 생산운영에서의 공정
프로세스(=공정): 투입을 산출로 바꾸는 기업의 모든 기능을 지칭

1) 주문충족의 유형에 따른 구분:
- 주문생산(납기 > 수요예측),
- 계획생산(수요예측 > 납기)
2) 제품 흐름에 따른 구분
① 주문생산(jobshop): 인쇄소, 고가명품, 비표준품 소량생산
② 묶음생산(batch): 감자칩, 전자부품, 다품종소량생산
③ 조립생산(묶음과 연속사이): 자동차, 소품종대량생산
④ 연속생산: 액체나 고체 등의 원자재가 이동 → 자동화, 24시간 가동(석유화학), 표준품 대량생산
3) 프로젝트 공정: 특정 목적달성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수행(예 영화촬영, 건축, 선박제조, 신제품개발)
4) 제약이론(TOC): 골드렛(골드랫)에 의해 제안 → 기업의 생산능력은 병목(bottleneck)에 의해 결정, 병목구간에 생산능력 추가, 공정을 개선하여 최적화해야 함.

 

제약이론(TOC) 이론 기본바탕
- 성과측정 위해서 재무적 측정기준, 운영적 측정기준, 생산성이 중요
- 제약자원 파악이 운영관리의 핵심
- 생산시스템 운영적 측정기준은 쓰루풋(회계), 인벤토리(재고), 오퍼레이팅 익스펜스(운영비용)
- 최우선 개선대상은 병목 유발 구간, 병목해소이다
- 기업의 최우선 가치(궁극적 목표)는 돈을 버는 것 이윤추구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