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몰입]
조직몰입: 조직 구성원이 조직 및 조직 목표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조직의 일원으로서 남아 있고자 하는 심리적 상태
<조직몰입의 3가지 차원>
1) 정서적 몰입 : 조직에 대한 애착, 충성도, 감정적 연결
2) 지속적 몰입(계기적 몰입) : 조직에 머무르는 것이 개인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몰입
3) 규범적 몰입 : 의무감, 책임감으로 인해 발생하는 몰입
<조직몰입 영향 요인>
1) 개인적 요인: 가치관, 성격, 직업 만족도, 워라밸
2) 조직적 요인: 리더십, 조직 문화, 의사소통, 업무 환경, 성과 관리
3) 직무적 요인: 업무 자율성, 의미 있는 일, 성장 기회, 인정 및 보상
<조직몰입 향상의 효과>
1)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몰입된 구성원은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고, 조직 목표 달성에 기여
2) 혁신 및 창의성 증진: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조직의 혁신을 주도
3) 이직률 감소 및 인력 유지: 몰입된 구성원은 조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이직 의도가 낮고, 조직의 인력 유지에 기여
4) 조직 성과 및 경쟁력 향상: 몰입된 구성원의 노력은 조직의 전반적인 성과 향상과 경쟁력 강화
<조직몰입의 결과>
1) 참여도: 조직활동에 적극적 참여, 결근율 감소
2) 조직 잔류의도 상승: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이직률이 하락
3) 직무몰입: 조직일체감을 바탕으로 과업과 업무에 몰입
4) 직무노력: 조직몰입이 클수록 조직을 위해 노력을 기울임
5)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이 강한 구성원이 스스로 타 구성원들을 배려하고 솔선수범함.
[조직의 몰입 저해 요인]
1) 목표의 불일치
2) 비전 없는 업무
3)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
4) 육체적/정신적 소진
5) 지시/통제 중심 문화(소통의 부족)
(예상문제)
Q1. 다음 중 조직몰입의 차원에 속하지 않는 것은?
(A) 지속적 몰입
(B) 감정적 몰입
(C) 규범적 몰입
(D) 계약적 몰입
(E) 정서적 몰입
Q2. 다음 설명 중 규범적 몰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조직에 대한 의무감과 책임감 때문에 조직에 남아있고 싶어 하는 심리 상태
(B) 개인의 가치관과 조직의 가치관이 일치하지 않아도 조직에 남아있을 수 있는 상태
(C) 조직에 대한 강한 애착과 헌신을 느끼는 상태
(D) 경제적 이유나 다른 대안이 없어서 조직에 남아 있음
(E) 조직을 떠나는 것이 개인에게 심각한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상태
Q.3. 다음 상황 중 감정적 몰입이 높은 개인이 보일 만한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업무 시간 외에도 조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B)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적인 희생을 감수
(C) 동료들에게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줌
(D) 조직의 결정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
(E) 조직의 성공을 자신의 성공으로 여김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업], 분업화 장점, 분업의 장점, 분업 장점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6 |
---|---|
조직구조 및 조직설계, 조직구조이론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6 |
[조직학습]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6 |
조직변화, 태도변화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6 |
조직문화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