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재소요계획3

[생산운영 과정]_기업진단지도 ☆(순서 기억, 개념정의) 생산시스템(시설입지) -> 생산능력 결정 -> 총괄계획 -> 주일정계획 -> 자재소요계획 -> 작업일정계획 - 시설입지 : 사업의 부지, 사업장소 등의 입지결정문제를 장기적 계획을 갖고 준비 - 생산능력 결정 : 생산규모와 경제성을 바탕으로 단위 생산당 최고의 효율을 찾는 과정(한계생산 최대치) - 총괄계획 : 총괄생산계획(중기계획) 6~18개월의 중기계획 - 주일정계획 : 총괄생산계획을 제품별, 기간별로 분리하여 세분화(=대생산일정계획, 기준생산계획 등) - 자재소요계획 : 주일정계획에 소요되는 원자재 및 반제품의 납기 및 수량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과정 - 작업일정계획 : 생산라인, 기계, 작업장에서의 생산일정을 구체적으로 계획 Q. 생산운영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을 고르.. 2024. 2. 17.
자재소요계획(MRP)_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경영관리) 1) 개념 ① 주일정계획에 소요되는 원자재 및 반제품의 납기 및 수량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과정 ② 완제품 생산에 필요한 종속수요(자재 및 부품)의 소요량을 역산하여 효과적 재고통제에 사용 ③ 생산수량과 일정을 토대로 필요한 자재조달 계획을 수립하는 관리시스템 2) 특징과 효과 ①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축 ② 제품 인도시간 감축 ③ 정확한 수요예측 ④ 생산운영효율성 제고 3) MRP의 3대 구성요소(=입력자료): - 주일정계획(MPS), - 자재명세서(BOM), - 재고기록철(IR) + 기타 구성요소 : 자재가 수송되는 기간(리드타임) 4) 유형: 재생형 시스템(주기적 입력) vs. 순변화 시스템(입력자료 변화 즉시 반영) 5) 확장개념 regate production plann ① 폐쇄순환 MR.. 2024. 2. 16.
총괄생산계획(APP) 주일정계획(MPS), 자재소요계획(MRP)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1차 APP 총괄생산계획은 기업의 생산 활동을 종합적으로 계획하는 최상위 계획.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수립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생산량 계획: 생산 제품별 목표 생산량 설정 자재 계획: 생산에 필요한 자재의 종류, 양, 시기 결정 인력 계획: 생산에 필요한 인력의 종류, 수, 시기 결정 설비 계획: 생산에 필요한 설비의 종류, 용량, 투자 시기 결정 재무 계획: 생산 활동에 필요한 자금 조달 및 사용 계획 MPS 주일정계획은 APP 총괄생산계획을 단기적인 실행 계획으로 구체화하는 것. 주 단위로 생산 제품별 생산량, 생산 일정, 자재 소요량 등을 계획합니다. MPS 주일정계획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생산 일정 관리: 주 단위로 생산 일정을 수립하고 관리하여 생.. 2024. 2.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