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스트레스(특성, 측정, 유발원인, 영향요인, 반응)

by Good safety 2024. 1. 6.
728x90

<스트레스의 특성>

 - 신체적 스트레스와 정신적 스트레스는 서로 영향을 줌 

 - 스트레스 자체의 심각성 보다 받아들이는 개인의 자세에 의해 결정

 - 스트레스는 누적되는 특성, 사소한 스트레스도 누적되면 건강에 위해

 

<스트레스의 측정>

 - 생리학적 측정 방법: 스트레스 수준의 파악에 용이, 시간과 비용 소모 多, 스트레스원 찾기 힘듦

 - 자기보고식 방법: 측정 쉽고, 스트레스 수준 간단히 파악, 신뢰도 낮음(자기기억에 의존)

 - 사회 재적응 평가 척도: 주요 생활 사건에서 생활변화치를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음으로 파악하는 방법

홈스와 라헤의 사회 재적응 평가척도(미국문화 중심으로 문화권별로 차이가 있음)

 

<스트레스 유발 원인>

1. 내적 원인

 - 과잉부담

 - 갈등 

 - 좌절감

 - 편견과 차별

 - 외로움

 - 비현실적 기대

2. 외적 원인

 - 소음 

 - 개인공간

 - 인구과밀

 - 생화의 변화

 

<스트레스 지각 영향 요인>

스트레스는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며, 스트레스를 어떻게 지각하는지가 더 중요한 문제임.

1. 자동적 사고

 - 인지도식과 인지오류(흑백논리, 독심술적 사고, 과잉 일반화)

2. 성격

 - A형과 B형 성격(Friedman & Rosenman,)

 - 억압적 성격과 민감형 성격(Goldstein): 억압형은 스트레스 부정, 민감형은 민감하고 해결하려함.

 - 낙관적 성격과 비관적 성격: 여유있는대응 VS 힘들고 고통스러워함

 - 자아개념 : 자신의 사고의 틀에 맞추어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을 파악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의 정의에 대한 3가지 관점(스트레스 연구에 큰 3가지 관점)

1) 자극 접근 -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외부적 자극 사건으로 인식

2) 반응 접근 -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 유기체가 만들어내는 반응

3) 상호작용 접근 -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 - 상황에 대한 개인의 지각

 

반응 접근의 관점: 셀리에의 일반적응 증후군 단계

위 표를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하면,

자료출처: 정신건강의 이해(한서대 이태연)>스트레스 반응(http://www.kocw.net/home/cview.do?lid=35e56399d18d17e3)

 

 

<상호작용 접근 특징(Lazarus)>

1. 상호작용이론 특징

 - 스트레스 반응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

 - 심리적 상황에 대한 개인의 평가가 스트레스 반응을 결정 

 - 스트레스 상황이 위협적이거나 도전적이거나 해로운 것으로 평가될 때 스트레스 반응 발생

2. 스트레스 사건을 평가하는 방식(3가지)

 - 1차 평가

 - 2차 평가

 - 재평가

3.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대처

 - 건강과 에너지

 - 긍정적 신념

 - 문제해결기술

 - 사회적 기술

 - 물질적 자원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

 

김정호·김선주,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시그마프레스, 2007), p157

 

김정호·김선주,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시그마프레스, 2007), p159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반응>

1. 정서적 반응

 - 분노

 - 불안

 - 우울과 무기력

2. 인지적 반응

 - 인지기능 저하(터널 시야 현상_ex) 챌린저호 폭발

 - 각성수준과 수행




터널효과

스트레스는 각성을 높임

자료출처: 정신건강의 이해(한서대 이태연)>스트레스 반응(http://www.kocw.net/home/cview.do?lid=35e56399d18d17e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