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 개발과정]
1) Plan(계획): 아이디어 창출 및 제품 계획 -> 연구개발(R&D) 활동
- 아이디어 도출 원천: 고객욕구, 시장견인, 생산기술 발전
- 개발단계의 순차적 접근법 VS 동시공학
- 기술조달의 전략: 자체 연구개발, 기술제후, 기술도입(구입)
- 연구개발의 순서: 기초연구-> 응용연구->개발연구
- 기술발전 과정: 기술S커브(도입, 발전, 성숙, 쇠퇴)_X축 누적투입량, Y 축 성과(속도, 생산성, 집적도, 내구성, 출력, 연비 등)
2) Do(설계 및 제작) -> 컨셉을 구현
3) See(시험): 시제품과 제작과정 검토
(예상문제)
1.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기술 S커브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a) 기술 성장 단계
(b) 기술 성숙 단계
(c) 기술 혁신 단계
(d) 기술 발전 단계
(e) 기술 쇠퇴 단계
2. 기술 S커브에서 기술 성장 단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짐
(b) 생산 비용이 감소함
(c) 시장 규모가 확대됨
(d) 경쟁이 심화됨
(e) 기술 성장이 둔화됨
3. 기술 S커브에서 기술 성숙 단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기술 표준화가 이루어짐
(b) 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c) 생산 비용이 최저화됨
(d) 기술 혁신이 활발하게 일어남
(e) 가격 경쟁이 심화됨
4. 기술 S커브에서 기술 혁신 단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새로운 기술이 등장함
(b) 기존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남
(c) 불확실성이 높음
(d) 기술 성장이 둔화됨
(e) 시장 규모가 확대됨
5.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기술 S커브를 활용하는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신제품 출시 시기 결정에 도움을 줌
(b) 기술 개발 투자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줌
(c) 경쟁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줌
(d) 시장 분석에 도움을 주지 않음
(e) 위의 모든 답변이 옳음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운영, 생산운영관리 목표(생산관리 목표) : 원가, 품질, 시간, 유연성(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경영학) (0) | 2024.02.22 |
---|---|
제품설계의 관련 개념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예상문제) (0) | 2024.02.21 |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y)] (0) | 2024.02.21 |
[슈메너의 서비스 매트릭스]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2.21 |
LOB(line of balance)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