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의 오류(인사평가의 오류, 평가자의 오류)]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예상문제 포함
1) 평가자의 의도적인 주관적 평가
① 항상오류(constant error_ 분배적 오류 distributional effect):
- 관대화(leniency tendency),
- 가혹화(harsh tendency,
- 중심화(central tendency)
② 상동오류(고정관념, stereotyping): 소속집단의 특성으로 개인을 판단
③ 연공오류: 연령, 학력, 근속연수가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침
2) 평가자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
① 후광효과(halo effect, 현혹효과): 한 가지 속성으로 나머지 속성을 추론
② 시간적 오류(=최근효과 recency effect): 가장 최근에 주어진 정보가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침
③ 상관편견: 상관이 없는 복수의 요소 간 상관을 크게 인식
④ 논리적 오류(logical error): 상관이 있는 두 개념 중 한 항목의 평가로 나머지를 판단
⑤ 근접오류: 인접한 평가요소 간의 차이를 실제보다 크게 지각하는 현상
⑥ 유사성 오류(유사성의 오류): 평가자 자신과 비슷한 평가대상에 더 호의적
⑦ 투사오류(projection error) : 자신의 생각을 상대에게 투영, 주관의 객관화
3)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오류
① 중심화 경향: 정보가 부족하여 평균에 가까운 점수를 부여
② 귀인과정오류: 내적 귀인과 외적 귀인을 혼동하는 경우
③ 2차 평가자 오류: 차상위 상사의 평가오류
cf)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신념을 거듭 확인하려는 지각오류,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것"
cf) 대비효과(contrast effect): 대조효과, 연속으로 평가되는 두 대상 간의 평가점수 차이가 실제보다 더 크게 나타남
cf) 자기효능감(self-efficacy): 과업에 성공적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스스로 가졌다고 믿음.
cf) 자존적 편견(self-servinf bias): 자신의 판단에 있어서 성공 시에는 능력이나 노력과 같은 내재적 요인에 귀인하는 반면, 실패 시에는 그 원인을 외재적 요인에 귀속시키려는 경향
<예상문제>
Q1. 평가자가 평가 대상자를 실제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관대화 (leniency tendency)
(b) 가혹화 (harsh tendency)
(c) 중심화 (central tendency)
(d) 확산화 (spread tendency)
(e) 편향 (bias)
Q2. 평가자가 평가 대상자를 실제보다 더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관대화 (leniency tendency)
(b) 가혹화 (harsh tendency)
(c) 중심화 (central tendency)
(d) 확산화 (spread tendency)
(e) 편향 (bias)
Q3. 평가자가 평가 대상자를 평균적인 점수로 평가하는 경향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관대화 (leniency tendency)
(b) 가혹화 (harsh tendency)
(c) 중심화 (central tendency)
(d) 확산화 (spread tendency)
(e) 편향 (bias)
Q4.평가자가 평가 대상자의 한 가지 특징으로 인해 다른 특징들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후광효과 (halo effect)
(b) 시간적 오류 (recency effect)
(c) 상관편견 (correlation bias)
(d) 논리적 오류 (logical error)
(e) 근접오류 (proximity effect)
Q5. 평가자가 가장 최근에 접한 정보에 지나치게 영향을 받아 평가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후광효과 (halo effect)
(b) 시간적 오류 (recency effect)
(c) 상관편견 (correlation bias)
(d) 논리적 오류 (logical error)
(e) 근접오류 (proximity effect)
Q6. 평가자가 상관관계가 없는 두 가지 요소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믿는 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후광효과 (halo effect)
(b) 시간적 오류 (recency effect)
(c) 상관편견 (correlation bias)
(d) 논리적 오류 (logical error)
(e) 근접오류 (proximity effect)
Q7. 평가자가 평가 대상자의 인접한 평가 요소들 간의 차이를 실제보다 크게 인식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후광효과 (halo effect)
(b) 시간적 오류 (recency effect)
(c) 상관편견 (correlation bias)
(d) 논리적 오류 (logical error)
(e) 근접오류 (proximity effect)
Q8. 평가자가 자신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 평가 대상자에게 더 호의적인 평가를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후광효과 (halo effect)
(b) 시간적 오류 (recency effect)
(c) 상관편견 (correlation bias)
(d) 논리적 오류 (logical error)
(e) 유사성 오류 (similarity error)
Q9. 평가자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평가 대상자에게 투영하여 평가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후광효과 (halo effect)
(b) 시간적 오류 (recency effect)
(c) 상관편견 (correlation bias)
(d) 논리적 오류 (logical error)
(e) 투사 오류 (projection error)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 공정성(경영학)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예상문제 포함) (0) | 2024.03.06 |
---|---|
평가의 개념, 평가 구성요건, 평가의 구성요건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06 |
인사고과 기법, 인사평가 기법, 행위기준고과법(BARS) (0) | 2024.02.29 |
목표관리법( MBO), 목표설정 SMART 원칙, 평가센터법(종합평가제도) (0) | 2024.02.29 |
임금수준의 관리, 임금수준 관리_기업진단지도, 경영학,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