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정보의 수집 방법]
1) 관찰법: 실제 과업/직무를 관찰, 체계적 기록
- 長: 다수 작업자 관찰 필요
- 短: 주관 개입, 내면관찰 불가, 장시간 관찰 불가
2) 면접법: 작업자의 직접 진술 확보
- 長: 긴 시간 직무 요약 가능
- 短: 면접 대상과 호의적 관계 구축 필요
3) 질문지법: 설문지 응답 및 기술 확보
- 長: 시간, 노력 절약
- 短: 해석상 차이 인한 오류
4) 경험법: Learning by doing
- 長: 가장 정확한 파악 가능
- 短: 실제 수행 가능한 직무 숫자 적음
5) 중요사건법: 효과적 행동사례 수집·분석
- 長: 직무행동과 성과 간 관계 파악 용이
- 短: 직무행동의 분류/평가에 많은 시간, 비용 소요
6) 작업기록법: 작업일지나 메모사항의 분석
- 長: 내의 신뢰도 높음
- 短: 일지의 내용이 직무분석에서 원하는 것이 아닌 경우 문제
7) 임상적 방법: 시간/동작연구, 테스트법(우수자 시연 등)
- 長: 비교적 정밀, 객관적 자료 도출 가능
- 短: 절차 복잡, 전문적 지식 필요
8) 혼합법: 위의 두 가지 이상 방법을 함께 사용
[직무분석]
1) 의의: 직무(job)의 내용과 직무수행자의 특성을 밝히는 체계적인 작업
2) 절차: 예비작업(문헌연구) → 본조사(직무정보수집) → 정리 및 분석(직무기술서와 명세서의 작성)
(예상문제)
Q1. 직무 분석자가 해당 직무를 수행한 후 체험을 바탕으로 직무를 분석하고 상세한 정보를 얻어내는 방법이지만 경험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직무분석의 방법은 아닌 것은?
(A) 면접법
(B) 관찰법
(C) 질문지법
(D) 경험법
(E) 중요사건 기록
Q2. 직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과 해결 과정을 분석하여 직무의 핵심 역량과 문제 해결 능력을 파악하는 직무분석의 방법은?
(A) 중요사건법
(B) 작업 일지 분석
(C) 임상적 방법
(D) 면접법
(E) 질문지법
Q3. 직무 수행자의 직무활동을 시간적, 행동적으로 동작을 파악하고 분석하거나 작업자의 심리 및 적성을 검사하고 작업의 환경측정을 포함하는 직무분석의 방법으로 정밀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며 절차적 복잡성과 전문성이 필요한 분석방법은?
(A) 임상적 방법
(B) 작업 일지 분석
(C) 중요사건 기록
(D) 관찰법
(E) 면접법
Q4. 직무 수행자의 작업 일지를 분석하여 직무 내용, 작업 과정, 문제점 등을 파악하는 직무분석의 방법은 무엇인가?
(A) 중요사건 기록
(B) 작업 일지 분석
(C) 임상적 방법
(D) 관찰법
(E) 면접법
Q5. 직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과 해결 과정을 직무 수행자에게 직접 질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직무분석의 방법은 무엇인가?
(A) 중요사건 기록
(B) 작업 일지 분석
(C) 임상적 방법
(D) 면접법
(E) 질문지법
'기업진단지도(산업안전지도사 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 문화 차이, 국가 문화 분류, 문화가치 구분 4가지 차원 구분, 5가지 차원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6 |
---|---|
조직 수명주기 이론(퀸과 카메론, 퀸과 캐머런)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6 |
인사관리 영역, 직무설계, 직무평가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5 |
"위험사회"-울리히 벡_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0) | 2024.03.15 |
인력의 모집과 배치 _ 기업진단지도, 산업안전지도사, 예상문제 (1)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