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지도사 2차73

[기초공사] -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중 굴착공법의 비교 - 항경: 800~1500mm - 항심: 20~50m - 전 길이에 케이싱을 사용 하여 굴삭공 보호 - 사층의 시공 가능 - 사층에서 케이싱에 작용하 는 마찰력이 커져 요동 불 능, 뽑기 불능 사태 발생 - 굴착기가 대형이고 케이싱 이 필요하기 때문에 협소 한 장소에서 시공이 곤란 - 케이싱 튜브를 선행하여 압입하므로 굴착에 의한 공벽 붕괴가 없다. - 타 공법보다 타입 시에 소음과 진동이 크다. - 항경: 800~2000mm - 항심: 60m - 소음과 진동이 적다. - Rotary 테이블을 모체와 30m 정도까지 내려 작업 할 수 있어 수상 시공과 공구가 작은 장소에 시공 가능 - 시공속도가 빠르고 경제적 이수처리 곤란 - 세(細) 자갈 굴착에 유리 - 드릴 로드 내경보다 큰 전석 등이 지반 속에 있.. 2023. 9. 16.
[기초공사] -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RCD공법 ① 로터리 볼링에서 압력 수가 순환경로의 반대 방향으로 물이 역 순환하면서 굴착된 토사를 외부로 유출하는 역 순환 공법 ② 느슨한 표층부 지반의 붕괴 방지를 위해서 스탠드 Pipe를 관입시켜 0.2kg/cm² 이상 압력하에서 공벽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지반토의 굴착, 슬라임 처리 등의 공정으로 시공 ③ 토사를 배출하는 방법에는 Suction Pump, Air Lift Jet식 등이 있으며 배출된 토사는 수분이 많기때문에 처리에 대한 대책을 강구 ④ 물의 보급 또는 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나 지하에 저장된 피압 지하수가 매우 높은 경우 작업할 수 없으며, 미리 약액 등을 주입하여 사전에 지반 다짐 ⑤ Drill 로드 내경보다 큰 전석 등이 지반 속에 있을 경우 굴삭이 곤란하므로 클램셸 등으로 제거 ⑥ 굴착.. 2023. 9. 16.
[기초공사] - 케이슨 기초 종류 [기초공사 ] - 케이슨 기초 (잠함기초) - 깊은 기초 - 지지력, 수평저항력 가장 大 - 자중, 적재하중의해 소정 위치까지 침하 1 ) 우물통 기초 (Open caisson) 공법 2) 공기 케이슨 (Pneumatic caisson) 3) 상자형 케이슨 (Box caisson) 2023. 9. 16.
[기초공사] - 우물통 기초 (open caisson) [기초공사 ] - 우물통 기초 (open caisson) 1) 우물통 처럼 상하개방된 케이슨을 지표면에 설치 내부의 토사를 클램쉘 등의 굴착기계로 굴착해 내려가면서 지지기반 까지 침하시키는 공법, 정통 기초라고 함. 2) 특징으로 침하 깊이 제한 X, 공사비 저렴함 3) 교량기초에 많이 사용. 2023. 9. 16.
[기초공사] - 공기 케이슨 (Pneumatic caissen) 공법의 특징 1) 케이슨 하부 압축공기 작업실을 두고 여기에 압축공기를 투입. 물의 침입 차단, 히빙 및 보일링 등을 예방, 인력이나 특수 기계로 저면의 토사 굴착하여 케이슨을 침하시키는 공법. 2) 장점으로 Dry work 가능, 토질확인 가능, 지지력 측정 가능, 보일링과 히빙 현상 방지, 바닥 콘크리트 신뢰도 우수. 3) 단점으로는 소음·진동이 커 시가지 공사에 부적함. 4) 케이슨병 발생, 5) 비경제적 (노무비 高), 6) 굴착 깊이에 제한 (35~40m), 7) 고가의 기계설비 2023. 9. 16.
[기초공사] - 상자 케이슨 공법 특징. ( Box caisson) [기초공사] - 상자 케이슨 공법 특징 1) 해상 예인 후 내부에 콘크리트, 자갈 모래등을 채워 소정의 위치에 침하 2) 품질 확보 용이, 설치 간편, 방파제 등 항만구조물에 사용 多. 3) 단점으로는 소음과 진동이 커 시가지 공사에 부적합 4) 케이슨병 발생 5) 굴착 깊이의 제한 6) 노무비 비율 높아 비경제성 7) 고가의 기계설비 필요 2023. 9. 16.
[기초공사] - 작업시 안전대책. (5가지)★★ [기초공사] - 작업시 안전대책 1) 작업시간, 시공방법 등을 검토하여 적정 공법 선정 2) 크레인 등을 연약지반 설치시 침하방지 깔판, 깔목 등 사용 3) 소음 · 진동의 대책 수립. 4) 케이슨 병 예방위한 사전조치 5) 밀폐 공간 작업시 충분한 산소공급, 작업 교대 6) 작업지휘자 지정하여 지휘 및 감독 2023. 9. 16.
[기초공사] - 말뚝의 부마찰력 [기초공사] - 말뚝의 부마찰력(NF : Negative Friction) 말뚝의 주위지반이 침하함에 따라 하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 - 연약층 관통 말뚝이 연약층의 압밀침하로 발생 - 하중으로 작용 - 극한 지지력이 감소 ① 연약지반의 분포가 깊을 경우 ② 연약층의 두께가 두꺼울 때 부등침하 발생으로 말뚝 침하 ③ 연약층 위에 과재 하중이 가해질 경우 ④ 동결융해로 지반 침화 ⑤ 지하 수위 저하나 지반 내 간극수압 감소로 중간층 압밀침하 발생 ⑥ 중간층 상부에 하중이 가해져 중간층에 압밀침하 발생 ⑦ 말뚝의 진동으로 주위지반 교란 시 ⑧ 성토층의 압밀 발생 시 ① 연약지반의 개량으로 지반침하 억제 ② 보조 말뚝으로 보강 ③ 말뚝 근입 깊이 증가로 선단 지지력 확보 ④ 지하 수위 저하로 간극수압의 변화를 .. 2023. 9. 16.
179. [터널공사] - 복공시 안전대책 [터널공사] - 복공시 안전대책 1) 작업 책임자 선임하여 진행. 2) 굴착 후 지보공 조립후 가능한 즉시 실시. 3) 지반이 불량한 곳은 지보공 보강후 복공작업. 2023. 9. 14.
189. [교량공사] - 안전대책 - 안전대책 ☆ 1) 안전 담당자 지정, 지휘 하에 작업실시. 2) 작업 반경 내 작업자의 출입금지, 안전표지 부착. 3) 강풍, 호우, 폭설 등 악천후 시 즉시 작업중지. 4) 고소작업시 추락방지용 방망 설치, 안전대 및 걸이설비 설치 5) 낙하물 방호선반 설치 및 비계 위 자재적치 금지 6) 건설기계, 장비와의 충돌, 협착 방지 위해 유도자 배치. 7) 건설기계의 넘어짐 인한 깔림 등의 방지 위해 밑받침 견고히 하고 무리한 작업금지 8) 동바리, 거푸집의 도괴 · 붕괴 방지 위해 지반강화 및 깔목· 깔판 등을 충분히 사용. 9) 상하 동시 작업 시 상호연락 및 협조하에 작업. 10) 현장 정리정돈, 전도 및 추락방지, 안전한 통로의 확보 11) 현장 주변 전선의 이설 또는 절연용 방호구 설치로 감전 예방 2023. 9. 11.
190. [교량공사] 교량 분류 (상부구조 형식에 따라) 교량 분류 (상부구조 형식에 따라) ☆ 1) 슬래브 교 : 교량의 주부재가 슬래브, 주로 15~30m 정도 단경간의 소(小) 교량 2) 라멘교 : 기둥과 보를 강결로 연결. 구조의 강성 증대, 단경간 의 교량에 많이 사용. 고속도로 횡단교, 15~30미터 소교량. 3) 거더교 : 거더를 교량 종방향 (차량 진행방향)으로 가설한 교량,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 4) 트러스교 :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 구조로 조립. 50~100미터 정도 경간에 적용. 5) 아치교 : 아치를 주부재로 하는 교량, 가해지는 외력을 아치의 축선을 따라 압축력으로 저항하는 구조. 미관이 수려, 50 ~ 200 미터 정도 중경간에 적용. 6) 사장교 중간의 교각위의 주탑으로부터 비스듬히 내려 드리운 케이블 로 교량상판을 .. 2023. 9. 11.
191. [철근 콘크리트 공사] - 콘크리트 타설시 안전수칙 준수사항. [철근 콘크리트 공사] - 콘크리트 타설시 안전수칙 준수사항. ☆☆ 1) 타설순서는 계획의거 실시 2) 타설 중 거푸집, 지보공 등 이상유무 확인 담당자 배치하여 이상이 발생 시 신속하게 처리 3) 타설 속도는 국토교통부 고시 - 콘크리트 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함. 4) 손수레 이용 콘크리트 운반 시 준수사항. - 천천히 운반, 거푸집에 충격주지 않게 타설 - 운반시 적당간격 유지, 뛰지 X, 통로 명확히 구분 - 운반통로에 방해가 되는 것은 즉시 제거 5) 기자재 설치, 사용시 준수사항. - 운반, 타설 기계 설치하여 작업 시 성능 확인. - 운반, 타설 기계는 사용전, 사용 중, 사용 후 반드시 점검 6) 타설시 편하중을 예방하고 거푸집의 변형 및 탈락에 의한 붕괴사고의 예방을 위해 타설 순서 준수... 2023. 9. 11.
193. [철골공사] - 재해 예방 설비 (재해 방지설비) (5가지) 193. [철골공사] - 재해 예방 설비 (재해 방지 설비) (5가지) ☆☆ 1) 추락방망, 안전난간 (추락) 2) 안전난간, 안전대 부착설비, 안전대 (추락) 3) 방호철망, 방호울 (비래, 비산, 낙하) 4) 비계, 달대비계, 통로 (고소작업, 추락) 5) 기둥의 승강용 트랩, 구명줄 (통로, 추락방지) 6) 불연재 울타리, 석면포 (화재) 7) 방호선반 (낙하) 2023. 9. 9.
194. [철골공사] - 건립 순서 계획 시 검토사항. [철골공사] - 건립 순서 계획 시 검토사항. ☆☆ (1) 철골 건립 시 계획 및 확인 1) 현장 건립 순서와 공장제작 순서 일치 계획 2) 제작 검사 사전실시, 현장운반계획 등을 확인. (2) 좌굴, 탈락에 의한 도괴 방지 1) 어느 한면만 2절점 이상 동시에 세우기 금지 2) 1 스팬 이상 수평 방향으로 조립 진행되도록 계획 (3) 조립 순서 설정 1) 건립 기계의 작업반경과 진행 방향 고려, 조립순서 결정 2) 조립된 부재에 의해 후속작업이 지랑 받지 않게 계획 (4) 연속기둥의 설치 시 좌굴 및 편심의한 탈락방지 1) 기둥 2개 싸우면 기둥 사이에 보를 동시에 설치, 안전성 확보 2) 다음의 기둥 세울 때에도 계속 보를 연결, 안전성 확보. 2023. 9. 8.
195. [철골공사] - 철골 작업시 위험방지(4가지) [철골공사] - 철골 작업시 위험방지(4가지) ☆☆ 1) 조립 시 접합부에 볼트 체결 등 견고한 구조가 되기전 걸이로프 분리 금지 2) 수직이동용 30 센티미터 이내 고정승강로, 수평이동용 작업발판 3) 주요 이동통로에 가설통로 설치, 안전대 부착설비 부착. 4)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강풍 : 10분간 평균풍속이 1초당 10미터 이상 - 강설 : 1시간당 강설량 1센티미터 이상 - 강우 : 1 시간당 강우량 1밀리미터 이상 2023. 9. 8.
197. [해체공사] - 사전조사 ( 5가지), (2022 기출) - 사전조사 ( 5가지) (2022 기출) 1) 인근 건물 동 수 및 거주자 현황. 2) 도로 상황 조사, 가공 고압선 유무 3) 진동, 소음 발생 영향권 조사 4) 차량 대기장소 유무 및 교통량.. 5) 공사전 철거, 이설 등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공사장애물 현황. 6) 부지내 공지 유무, 해체용 기계 설비 위치, 발생재 처리장소. 7) 접속도로의 폭, 출입구 갯수 및 매설물의 종류 및 개폐 위치. 2023. 9.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