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진단지도126

[특수건강진단의 시기 및 주기]_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업진단지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에 배치하기 전에 배치 전 건강진단을 실시 주기 구분---대상 유해인자---배치후 첫번째 특수건강검진주기---기본주기 1.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개월 이내 6개월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벤젠 2개월 이내 6개월 3.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3개월 이내 6개월 아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4. 석면, 면분진 12개월 이내 12개월 5. 광물성분진, 목재분진, 소음 및 충격소음 12개월 이내 24개월 6.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규정의 대상 유해인자를 제외한 별표12의 2의 모든 대상 유해인자 6개월 이내 12개월 [야간 작업 특수건강진단] 실시대상(2종) ◇ 6개월간 밤 12부터 오전 5시까지의 시간을 포함하여 계속되는 8시간 작업을 월 평균 4회이상 수행.. 2023. 12. 29.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면제 산업안전보건법 제89조(자율안전확인의 신고) ①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아닌 유해ㆍ위험기계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하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이라 한다)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자는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안전기준(이하 “자율안전기준”이라 한다)에 맞는지 확인(이하 “자율안전확인”이라 한다)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신고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여야 한다. ◎ 신청시 같이 제출해야하는 서류(구비서류) 민원인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 - 제품의 설명서 -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자율안전기준을 충족함을 증명하는 서류 민원인이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서류 (담당공무원이 확인) - 법인등기부 등본(법인인 경우만 해당한다) 1부 - 사업자등록증(개인.. 2023. 12. 29.
[안전검사] 대상 기계 기구 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업진단지도에서 안전검사 대상기계 기구 가려내기 1. 프레스 2. 전단기 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4. 리프트 5. 압력용기 6. 곤돌라 7. 국소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 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 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 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綿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 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법」 제3조제3호 또는 제4호에 따른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 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한다) 12. 컨베이어 13. 산업용 로봇 프.전.크.리.압.롤.사.고.곤.원.컨.봇. 이건 기억하지 않으면 풀 수 없다. 2023. 12. 29.
[제조 금지 또는 사용 허가 대상 유해물질]_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업진단지도 과목(산업위생분야) 제조 등이 금지되는 유해물질과 허가 대상 유해 물질은 종류도 많고 기억하기가 꽤 어렵습니다. 산업안전지도사 1차의 기업진단지도 과목에서 산업위생분야인데 외우지 않으면 풀 수 없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87조(제조 등이 금지되는 유해물질)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88조(허가 대상 유해물질) 비교, 대조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제조 등이 금지되는 유해물질 허가 대상 유해 물질 1. β-나프틸아민[91-59-8]과 그 염(β-Naphthylamine and its salts) 1. α-나프틸아민[134-32-7] 및 그 염(α-Naphthylamine and its salts) 2. 4-니트로디페닐[92-93-3]과 그 염(4-Nitrodiphenyl and its salts) 2. 디아니시딘[119-90.. 2023. 12. 29.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대상물질]_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상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대상물질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대상물질] 신규화학물질에 의한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을 위한 법률이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08조(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화학물질 외의 화학물질(이하 “신규화학물질”이라 한다)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는 자(이하 “신규화학물질제조자등”이라 한다)는 신규화학물질에 의한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을 조사하고 그 조사보고서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하지만, 그 유해성ㆍ위험성의 조사를 제외하는 대상물질도 있습니다. 과도한 화학물질 규제를 막기 위함이 그 목적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 85조(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에 따라 제외되는 대상물질을 .. 2023. 12. 29.
[질병자의 근로금지]_산업안전보건법, 동법 시행규칙_기업진단지도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질병으로 근로를 금지할 수 있을까요? 질병에 걸렸다고 해서 근로자를 강제로 휴직시키거나 근로를 금지하는 것은 법 위반의 소지가 있습니다. 다만,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는 질병인 경우는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법에서 지정한 전염될 우려가 있는 질병, 조현병, 마비성 치매, 심장ㆍ신장ㆍ폐 등의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은 의사의 소견서를 근거로 근로를 금지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산업안전보건법의 질병자 근로금지, 제한의 내용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38조(질병자의 근로 금지ㆍ제한) ① 사업주는 감염병, 정신질환 또는 근로로 인하여 병세가 크게 악화될 우려가 있는 질병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질병에 걸린 사람에게는 「의료법」 제2조에 따.. 2023. 12. 29.
[WBGT] 습구흑구온도지수에 따른 작업 및 휴식 시간 (작업휴식시간비) [WBGT] (Wet Bulb Globe Temperature, 습구흑구온도지수) 기업진단지도(산업위생분야) WBGT 온도지수 작업 및 휴식 시간구하기 입니다. WBGT (습구흑구온도지수 = 더위체감지수) [WBGT계산] ■옥외에서 일사가 있는 경우 WBGT=[0.7×습구온도]+[0.2×흑구온도]+[0.1×건구온도] ■실내에서일사가 없는 경우 WBGT=[0.7×습구온도]+[0.3×흑구온도] ex) 산업안전지도사 1차의 "기업진단지도" 과목에서 주어진 문제 내에서 WBGT를 구하고 작업강도를 파악하고 작업휴식시간비를 찾는 문제 (고온의 노출기준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숙지하고 있어야 문제를 풀 수 있다) 2023. 12. 29.
산업안전지도사 기업진단지도 과목 공부법 산업안전지도사 1차 시험의 당락을 좌우하는 주요 과목이 "기업진단지도"입니다. 수험자들이 입 모아 말하는 1차 시험 3과목 중 가장 어렵다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특히,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들도 경영학이나 심리학, 산업보건(위생) 등을 전공한 분들이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 수박 겉핥기식의 내용 나열에 그치고 있지요. 때문에 기업진단지도는 이공계가 아닌 계통, 특히 경영학이나 심리, 사회학 계열인 경우가 더욱 쉽게 접근이 가능한 과목입니다. 가장 유리한 경우는 안전공학 전공과 인간공학을 전공하신 분들과 산업보건전공에 경영, 심리, 사회학을 접한 경우로 보입니다. 솔직히 대학에서 교양으로 위의 과목들을 접하지 않은 공학도의 입장에선 여간 피곤한 과목이 아닐 수 없겠죠. 기업진단지도만 놓고 봤을 때 제가 판단하는.. 2023. 12. 29.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 사업장에서 근로자 등이 사고나 상해 또는 직업성 질병에 노출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서 그 위험성을 결정하여, 재해나 질병에 도달하지 않도록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선정하고 그 대책을 실행해 나가는 과정입니다.결과는 다시 피드백되어 다음 위험성평가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가장 큰 목적은 산재예방입니다.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찾아서 위험을 제거하거나 줄여서 근로자가 다치지 않고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입니다. 1) 위험요인: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직업성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기계, 기구, 화학물질, 작업과정, 작업방식, 근로자의 작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에 해당합니다. 상당히 광의적인 개념입니다. 2) 위험성: 위험요인이 사망, 상해나 질병 등이 발현될 수 있는 가능성과 .. 2023. 8. 17.
시스템의 특성 에 관한 설명 1) 시스템은 환경에 적응하거나 극복하면서 유지시켜야 한다. 2) 각각의 하위시스템들은 상호 간의 연관관계에 의해 시스템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하위시스템으로 구성된다. 4) 시스템은 단순히 구성요소들의 합이 아니며, 시스템 그 자체는 별개의 존재로서 하나의 단일체이다. 5) 시스템은 조화적 특성 산업안전지도사 1차 과목, 시스템의 특성 요약. 2023. 8. 17.
재해발생 메커니즘_산업안전지도사 기업진단지도 재해발생 메커니즘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 안전관리결함은 크게 관리적원인(관리책임)과 간접원인으로 나눔 - 불안전상태와 불안전행동으로도 볼 수 있음 - 재해의 원인을 간접원인(물적, 인적원인)과 직접원인(작업환경, 기인물, 가해물)으로도 나눌 수 있음. - 사고/재해는 연쇄적으로 일어남 2023. 8. 17.
FTA 결함수 분석 기법_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업진단지도 결함수 분석 (Fault Tree Analysis : FTA ) 기법 : 사고를 일으키는 장치의 이상이나 운전자 실수의 조합을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정량적 기법 FTA의 특징 1. 기계, 설비 또는 인간-기계 시스템의 고장이나 재해의 발생요인을 FT도표에 의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2. 해석하고자 하는 재해의 발생확률을 계산한다. 3. 재해발생 이전에 예측기법으로 활용함으로써 예방적 가치가 높은 기법이다. 4. 재해현상과 재해원인의 상호관련을 정량적으로 해석하여 안전대책을 검토할 수 있다. 2023. 8. 15.
하인리히(Heinrich)의 재해발생 5단계 하인리히(Herbert William Heinrich)는 보험회사의 조사관으로 근무하면서 다양한 사고케이스를 접할 수 있었는데, 보험청구되는 사건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조사를 하여 책을 발간했습니다. ‘산업재해 예방: 과학적 접근’(1931년) 이 책에서 보험청구 접수된 5만여 건의 사건·사고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재해의 발생 비율을 산정하였습니다. 이른바 1:29:300의 법칙입니다. 중상자 1명, 경상자 29명, 잠재적인 부상자 300명의 비율입니다. 또한 하인리히는 재해발생에는 단계가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하인리히가 주장하는 재해발생 5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제1단계: 사회적 환경과 유전적 요소(social environment and inherit) 2. 제2단계: 개인적 결함(perso.. 2023. 8. 15.
240. [건설현장 안전활동]_산업안전지도사 기업진단지도 1) 순회점검 2) 안전 보건 신고, 제안 3) 표어, 포스터 등 홍보 4) 5C 운동 ( Correctness, Clearance, Cleaning, Checking, Concentration) 5) 무재해 운동. 6) TBM 7) 위험예지훈련 8) 지적 확인 9) 터치 앤 콜 10) 잠재위험발굴 11) 아차사고사례기법 12) 재해사례 검토 13) 문제해결기법 2023. 8. 15.
728x90
반응형